김승옥 <무진 기행(霧津紀行)> 이해와 감상_by황소걸음
[해설]
1964년 <사상계>에 발표된 단편 소설. 이 소설에는 두 가지 공간이 있다. 아내가 있는 서울은 세속적이지만 현실적 가치의 공간이다. 이에 반해 무진(霧津)은 나른하고 축축한 몽환과 허무의 세계이다. ‘나(윤희중)’는 회억(回憶)에 이끌려 무진에 갔다가 2박3일의 여정을 마치고 서울로 돌아온다. 즉, 내면에 도사린 허무의 감상(感傷)을 떨치고 현실의 세계로 회귀하는 것이다.
[핵심정리]
* 갈래 : 현대소설, 단편소설, 귀향소설
* 배경 : 공간적 - 무진과 서울
시대적 - 1960년대
* 성격 : 서정적, 몽환적
* 시점 : 1인칭 주인공 시점
* ․특징 : 감각적이고 섬세한 언어 구사, 안개 등의 자연물을 통한 인물 내면의 상징 등의 기법이 돋보이는 이 작품은 당시 ‘감수성의 혁명’이란 찬사를 받기도 하였다.
* 주제 : 안개로 상징되는 허무와 몽환의 세계와 현대인의 속물적 일상 사이에서의 탈출과 귀환의 과정
* 출전 : <사상계>(1964)
[줄거리]
‘나’는 젊고 부유한 미망인과 결혼을 했고, 얼마 후 제약회사 전무가 될 서른세 살의 전도가 양양한 처지이나 별로 행복하지는 않다. 회사의 큰 일을 앞두고 아내의 권유에 의해 ‘나’는 어머니의 묘가 있고 젊은 날의 추억이 있는 고향 무진(霧津)으로 떠난다. ‘나’가 고향에 가게 될 때에는 항상 무엇엔가 쫓길 때였다. 이번에도 처가에서 운영하는 제약회사의 주주총회에서 전무로 선출되기 위해 잠시 머리를 식히려고 오는 길이다. 무진은 짙은 안개가 명물이며 그 외에는 특징이 별로 없는 조그마한 항구 도시이다. 그리고 ‘나’에게 무진의 기억은 젊은 날 전쟁 때문에 숨어 있었던 어두운 골방 속에서의 불면과 수음(手淫), 그리고 초조함만이 있을 뿐이다.
무진에 온 날 밤, 중학교 교사로 있는 후배 '박'과 그 곳 세무서장이 된 중학 동창 '조'를 만나 술자리를 같이 하게 된다. 거기서 ‘하인숙’이라는 음악 선생을 소개받는다. 대학 졸업 음악회 때 ‘나비 부인’의 아리아 ‘어떤 개인 날’을 불렀다는 그녀는 술자리에서 청승맞게 유행가를 부른다. 하인숙과 단둘이 귀가할 때 그녀는 자기를 서울로 데려가 달라고 ‘나’에게 간청한다. ‘나’는 그녀에게서 과거의 자신을 발견하며 다음날 만나기로 약속한다.
이튿날, 부슬비가 내리는 가운데 어머니의 묘에 성묘를 하고 오다가 방죽에서 자살한 술집 여자의 시체를 보며 또다시 연민의 정을 느낀다. 조와 잠깐 만난 후 하인숙과 약속된 바닷가 방죽으로 나간다. 과거에 폐병으로 요양했던 집에서 하인숙과 정사(情事)을 갖는다. 그녀에게 사랑을 느끼지만 끝내 말하지 않는다. 하인숙은 서울로 데려가 줄 것을 애원한다. ‘나’는 반드시 그렇게 하마하고 약속한다.
다음날 아침, 아내로부터 온 급전(急電)이 과거의 의식에 빠져 있던 ‘나’를 일깨운다. 하인숙에게 사랑한다는 편지를 쓰지만 곧 찢어 버린다. 이제는 영원히 기억의 저편으로 무진을 묻어 두기로 결심하면서 ‘나’는 부끄러움을 느끼며 그곳을 떠난다.
[등장인물]
- 나(윤희중) : 장인이 경영하는 회사의 전무로 오르기로 되어 있는 33세의 제약회사 간부. 고향 무진에 내려와 자신의 존재에 대해 회의하지만 아내의 전보를 받고 상경함으로써 현실에의 적응을 선택하게 된다.
- 하선생(하인숙) : 서울에서 음악대학을 나온 후 무진에서 중학교 교사를 하고 있다. 주인공 '나'처럼 허무주의에 빠져 있으며 무진을 탈출하고자 하나 그 삶을 수용하면서 그곳에 머무는 인물이다.
- 조 : '나'의 친구로 고시에 합격한 뒤, 그곳의 세무서장으로 있다. 출세와 성공에만 관심 있는 세속주의자
- 박 : 하선생을 좋아하고 주인공을 존경하는 고향 후배로, 하선생과 함께 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치는 교사. 순정적 인물
[구성 단계]
발단 : 잠시 머리를 식히기 위해 고향 무진으로 돌아옴.
전개 : 후배 박과 함께 친구 조를 방문한 '나'는 성악을 전공한 하선생을 만남.
위기 : 하선생에게서 우울했던 과거의 자신의 모습을 발견함.
절정 : 성묘길에 목격한 자살한 사람의 시체, 하인숙과의 정사.
결말 : 아내의 전보를 받고 무진을 떠남.
[황소 감상]
이 작품은 진정한 자아를 찾아 방황하는 1960년대 한 지식인의 정신적 여정을 드러내고 있다. 안개의 이미지로 표상되는 무진의 삶은 골방 안에서의 불면의 밤과 수음(手淫), 담배 꽁초와 편도선, 6․25 전쟁의 상처, 우편 배달부를 기다리던 초조(焦燥) 등 어둡던 청년 시절과 관련되어 있다. 즉 일탈과 욕정과 환몽으로 대표되는 허무의 세계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또 하나의 공간은 서울이며, 이는 원초적 인간성이 사라진 현실성과 속물성의 공간이다. 그 사이에서 주인공은 회귀와 탈출을 반복하고 있다. 현실의 세계에서 상처 받고 찾아가는 무진의 공간에서 주인공은 매번 끔직한 젊은 시절 허무의 얼굴을 만날 뿐이다. 그러한 무진은 사랑할 수도 그렇다고 부정할 수도 없는 자신의 뿌리이며, 어쩌면 그것은 현대인의 뿌리이기도 하다. 하인숙은 주인공의 이러한 내면의식을 대변하는 인물이며, ‘나’는 자신의 과거인 하인숙을 사랑하지만 하인숙에게 사랑한다는 말을 하지 않으며 결국 하인숙을 버리고 서울로 떠나온다. 과거와 현재의 어느 쪽에도 뿌리를 내리지 못하는 1960년대 지식인의 슬픈 자화상을 이 소설은 담고 있는 것이다.
무 진 |
⇒ |
서 울 |
⇒ |
다시 무진 |
⇒ |
다시 서울 |
고뇌의 공간 일탈의 공간 |
속물적 성공의 공간 |
하인숙을 통해 보는 허무의 공간 허무의 정체성이 드러나는 공간 |
안정된 삶을 선택한 공간 정체성을 포기하는 공간 |
[작가 소개]
[참고 자료]
1. 작가의 말
안개가 낀 듯이 미래가 보이지 않던 시대, 6.25 전쟁으로 전통적인 재산도 가치도 다 파괴되어 버리고 너나없이 속물이 되지 않고서는 살아남을 것 같아 보이지 않던 불투명한 시대가 바로 1960년대였고 젊은 날의 상황이었다.
- 김승옥, '무진기행 쓰던 무렵' 중에서
2. 수업용 보충자료 HWP 파일
[생각해 볼 문제]
1. 주인공이 무진으로 가던 당시 잠시 묘사되는 미친 여자의 의미는?
⇒ 미칠 것 같았던 주인공의 청년 시절을 연상시킴. 주인공은 현실적 속물적 세계에 적응하여 살아가고 있는데 만약 주인공이 무진에서의 기억을 잊지 않고 살았다면 미친 여자처럼 되었을 것이라는 개연성을 보여주고 있다.
2. '안개'의 상징적 의미는?
⇒ 안개는 인간과 인간의 단절과 소외, 무기력과 허무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안개의 이러한 상징적 의미는 고향 무진에 돌아와 무기력하고 몽롱한 의식으로 며칠을 보내야 했던 주인공의 내면 세계와 잘 조응을 이루는 것이며, 더 나아가 1960년대 젊은이들이 겪어야 했던 정신적 혼돈을 대변하는 것이다.
3. 주인공이 다니러 온 고향 무진과 거기에서 만난 하선생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 고향 무진은 주인공을 일상의 공간을 벗어나, 자신의 내면에 도사린 감상과 허무의 세계로 이끌어가는 공간. 하선생은 주인공 자신의 과거 모습을 보여주는 분신과도 같은 인물.
꿀팁_ 좋은 국어자료 빨리 찾는 방법
좋은 국어 자료가 필요할 때는 네이버나 다음 검색에서 찾고자 하는 검색어 앞이나 뒤에 '황소걸음'을 추가해 보세요.
예를 들어 '서경별곡'에 대한 자료를 찾을 때 '황소걸음 서경별곡' 또는 '서경별곡 황소걸음' 이런 식으로 검색하시면
황소걸음 블로그의 충실한 자료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현대문학자료실 > 현대소설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길/이청준/현대소설-이해와 감상_by황소걸음 (0) | 2017.02.13 |
---|---|
인간 문제/강경애/현대소설-이해와 감상_by황소걸음 (0) | 2017.02.13 |
황혼/박완서/현대소설-간결한 정리와 줄거리, 작품감상 (1) | 2017.02.13 |
돌다리/이태준/현대소설-이해와 감상_by황소걸음 (0) | 2017.02.12 |
역사(力士)/김승옥/현대소설-이해와 감상_by황소걸음 (0) | 2017.0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