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문학자료실/현대소설자료실

인간 문제/강경애/현대소설-이해와 감상_by황소걸음

by 황소 걸음 2017. 2. 13.
반응형

강경애 '인간 문제'에 대한 이해와 감상
 
[핵심 정리]
* 갈래 : 장편 소설, 노동소설
* 성격 : 사회고발적
*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 배경 : 시간-일제시대, 공간-용연읍과 서울, 인천
* 문체 : 객관적 묘사체
* 주제 : 일제시대 농민과 노동자의 비참한 삶
* 출전 : 동아일보(1934)
* 구성 :  전반부 - 정덕호가 소작인을 착취하고 여성을 농락한다.
                         선비는 덕호에게 유린당하고 첫째는 농민 운동에 실패한다.  
             후반부 - 인천과 서울의 공장이 주된 무대.간난이와 선비가 어려움 속에서 노동자 생활을 이어가고 첫째는 부두 파업을 주도하며 신철은 전향한다.

 

[등장인물]

- 선비 : 주인 정덕호에게 정조를 빼앗기고 노동자로 변신, 방적 공장에서 일하다가 폐결핵으로 죽음
- 첫째 : 소작농의 아들로 태어나 부두 노동자가 됨
- 유신철 : 노동 운동으로 첫째를 변화시키나 전향함
- 정덕호 : 지주에다 면장까지 하면서 농민을 착취하고 기만함

[줄거리]
  선비의 아버지는 용연 마을의 지주인 정덕호의 일꾼인데, 덕호의 지시로 빛을 받으러 갔다가 오히려 소작인을 도와준 죄로 덕호에게 맞아 죽는다.
  어머니마저 죽자 선비는 정덕호의 집에서 몸종으로 지내다가 결국 덕호의 꾀임에 빠져 순결을 잃는다. 선비는 덕호의 집을 도망쳐 나와 자기처럼 덕호에게 당하고 서울로 간 간난이를 찾아간다.
  선비를 좋아하는 남자는 고향 청년 첫째와 서울 사람 신철인데, 첫째는 덕호에게 반항하다가 그의 교묘한 술책으로 땅마저 빼앗겨 고향을 등졌고, 신철은 덕호의 딸 옥점에게 놀러 왔다가 선비의 모습에 반하게 된다. 그는 옥점이가 싫어져 부모끼리의 결혼 약속을 따르지 않고 가출하여 인천 부두에서 노동자 생활을 하다가 첫째를 만나 그를 각성된 노동자로 키우기 위해 많은 학습을 시킨다.
  서울에 올라온 선비는 노동자로 생활하고 간난이를 만나 인천의 방적 공장에 취직하여 새 삶을 시작한다. 이 공장은 수많은 여공들을 기숙사에 수용하여 갖은 방법으로 노동력을 착취하는데, 이미 노동 운동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간난이는 자본가의 횡포와 노동자가 겪는 아픔을 극복하기 위해 비밀 작업을 추진하다가 이 일을 선비에게 맡기고 공장을 탈출한다. 간난이가 나간 후 선비는 공장 감독의 유혹을 뿌리치며 자기 일을 다하다가 폐결핵이 악화돼 죽고 만다.
  첫째는 신철을 만나 자신의 현실을 철저히 인식하고 공장 내의 노동 운동을 돕다가 부두 노동자의 파업을 성취시켰으나, 신철은 전향했고 선비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는다. 그리고 결국 인간 문제는 신철과 같은 지식인에게서 구할 것이 아니라, 노동자 자신이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것을 뼈저리게 절감한다.

 

[이해와 감상] 
  1934년 <동아일보>에 연계된 장편소설. 연재 직전 작가는 ‘이 시대에 있어서 인간의 문제를 해결할 인간이 누구며, 그 인간으로서의 갈 바를 지적하려 했다.’고 밝혔다고 한다. 일제 강점기의 농민과 노동자가 얼마나 비참한 삶을 살았던가를 보여 주고 있다. 그런데, 무엇보다도 이 작품이 당시 항일 투쟁을 직접 다를 수 없는 상황에서 농민 운동과 노동 쟁의의 문제를 정면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황해도 용언과 인천 부두를 중심으로 일제 강점기의 농민과 노동자의 비참한 삶을 보여주고, 그 고통과 비극은 우리 모두의 문제임을 제시하고 있다. 작품의 전반부에서는 농촌 사회의 봉건적 모순을, 후반부에서는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을 치밀하게 다루고 있는데 이 두 가지가 바로 [인간 문제]에서 작가가 제시하고자했던 ‘인간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사회 고발적 요소가 강하며 목적 문학적 성격을 뚜렷하게 지니고 있다.

 

 

[참고자료]

 

1. 작품의 한계

  작품의 전반부는 농민의 참상을, 후반부는 일제를 상대로 한 노동자의 투쟁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농촌의 인물을 공장으로 옮겨옴으로써 작위성과 괴리감을 느끼게 하는 것은 작품의 한계로 지적되기도 한다.

 
2. 여자의 일생

  선비를 주인공으로 하는 ‘여자의 일생’형 소설로 보는 관점도 있다. 여자의 비극적 일생이 개인적 결함에 기인하는지, 아니면 시대 사회적 조건에서 비롯되는지를 검토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다. 가난한 머슴의 딸로 태어나 조실부모하고 주인에게 짓밟혀 고향을 떠나 방적 공장의 여직공으로 일하다가 폐결핵으로 죽는 것이 선비의 일생이다. 이 작품은 사회 고발적 요소가 강한 작품으로 선비의 죽음은 개인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시대 사회적 부조리에 의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