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전자료실/한국의문인42

박봉우(朴鳳宇)의 생애와 문학세계 박봉우 [朴鳳宇, 1934.7.14~1990] 전남 광주(光州) 출생. 호는 추풍령(秋風嶺). 전남대학교 문리대 수학. 대학 재학시 《영도(零度)》 동인이었으며, 1956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시 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그 뒤 (1956), (1957), (1957) 등을 발표하여 시단의 주목을 받았다. 1962년 이후에는 《신춘시(新春詩)》 동인으로 활약했으며, 1962년에 《현대문학》 신인상을 수상했다. 선적(禪的)인 동양정신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서정세계를 추구했으며, 그 서정을 통하여 문명비평을 시도한 것이 특징이다. 첫시집 《휴전선》(1957), 《겨울에도 피는 꽃나무》(1959), 《4월의 화요일》(1962) 2016. 6. 10.
백석(白石)의 생애와 문학세계 백석(白石, 1912- ) 생애 시인, 아동문학가. 번역가. 1912년 평북 정주 출생. 본명은 기행(夔行)으로 알려져 있지만 기연(基衍)으로도 불렸다. 필명은 백석(白石, 白奭)인데 주로 白石으로 활동했다. 1918년(7세) 오산 소학교 입학. 1924년(13세) 오산 학교 입학. 동문들의 회고에 의하면 재학시절 오산 학교의 선배 시인인 김소월을 매우 선망했었고, 문학과 불교에 깊은 관심을 가짐. 1930년(19세) 조선일보의 작품 공모에 단편 소설 [그 모(母)와 아들]을 응모, 당선하여 소설가로서 문단에 데뷔함. 이해 3월에 조선일보사 후원 장학생 선발에 뽑혀 일본으로 유학. 토오쿄오의 아오야마(靑山) 학원 영어 사범과에 입학하여 영문학을 전공함. 1934년(23세) 귀국 후 조선일보사에 입사하면서.. 2016. 6. 10.
박두진(朴斗鎭 )의 생애와 문학 세계 박두진(朴斗鎭 1916- 1998) 시인. 호는 혜산(兮山) . 경기도 안성출생. 1939년 에 , 이듬해 가 각각 추천되었다. 그 후 등 수작을 발료하였다. 문총 중앙위원 . 한국문학가협회 시(詩) 분파위원장을 역임하였으며 1956년에는 제 4회 자유문학상을 받았다. 한때 잡지 를 주간하였고 연세대학, 서울대학 문리대, 국학대학, 이화여대 교수를 역임하였다. 그는 박목월, 조지훈과 함께 청록파로 불린다. 그들이 청록파라고 이름지은 이유는 그들의 시 속에는 자연을 소재로 한 글들이 대부분을 차지했기 때문이다. 박두진 역시 초기의 시들은 이처럼 자연친화적인 교감 등을 보여주고, 기독교적 이상과 윤리 의식을 나타내었다. 이 시인을 시단에 내보내면서 정지용 시인은 "박군의 시적 채취는 무슨 삼림에서 풍기는 식.. 2016. 6. 9.
박남수(朴南秀)의 생애와 작품 세계 박남수(朴南秀) (1918. 4. 3~1994. 9. 17) 시인. 1918년 5월 3일 평양에서 출생. 평양 숭인 상업을 거쳐 일본 동경 중앙 대학 법학과 졸업. 유학 시절 제1회 『문장』지의 추천을 받은 김종한, 이용악 등과 사귀게 되면서, 그들의 권유로 『문장』지에 투고, 1939년부터 1940년까지 정지용에게 추천받음. 1940년에 이들 시를 모아 일본에서 시집 『초롱불』간행. 그 후 일본이 제2차 대전에 참전하던 12월 앞당겨진 졸업을 하고 동경을 떠나 고국에 돌아오지만 이미 일본의 문화말살정책으로 『문장』, 『인문평론』 등이 폐간되어 문단과 교섭없이 지내게 됨. 1945년 해방과 함께 전남포에서 조선 식산은행에 입사, 이듬해 한국식산은행 평양지점장까지 되나, 어수선한 사회 현실에 안주하지 못하.. 2016. 6. 9.
이육사(李陸史)의 생애와 문학세계 이육사 李陸史 (1904-1944) 시인. 독립운동가. 본명은 원록(源綠) , 별명은 원삼(源三) ,후에 활(活)로 개명. 경북 안동군 도산면 원촌리에서 가호의 둘째 아들로 출생.배문의숙에서 신학문을 배우고,대구 교남학교에서 잠시 수학(修學). 1925년 독립운동단체 의열단에 가입. 그해 일본으로 건너갔다가 다시 의열단의 사명을 띄고 북경으로 갔다. 1926년 일시 귀국.다시 북경으로 가서 북경사관학교에 입학,이듬해 가을에 귀국했으나, 장진홍의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사건에 연좌, 3년형을 받고 투옥되었다. 이때 그의 수인번호가 64번이어서 호를 육사로 택했다고 전한다. 1929년 출옥,이듬해 다시 중국으로 건너갔다. 그곳 북경 대학 사회학과에서 수학하면서 만주와 중국의 여러 곳을 전전, 정의부, 군정부,.. 2016. 6. 9.
강은교(姜恩喬)의 생애와 문학세계 강은교(姜恩喬 1946- ) 함경남도 흥원 출생. 연세대학교 영문과 졸업. 1968년 『사상계』 신인 문학상에 이 당선되어 등단. 1975년 제2회 한국문학 작가상 수상. 1992년 제37회 현대문학상 수상. 현재 동아대학교 교수. 강은교의 초기 시는 시적 대상에 대한 허무적 인식의 표현이 중심이 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첫 시집 『허무집』(1971), 『풀잎』(1974), 『빈자일기(貧者日記)』(1978) 등으로 이어진다. 특히 『허무집』(1971)의 경우. 그 제목이 말해 주듯 대부분의 시는 짙은 허무의 그림자로 싸여 있으며, 그 허무는 무속(巫俗)에 대한 자기 나름의 인식 및 감각과 연결되어 있다. 1980년대 이후의 중반기로 접어들면서는 더욱 정교한 감각의 언어와 표현을 획득하게 된다. 이처럼 .. 2016. 6. 8.
신동집(申瞳集)의 생애와 문학세계 신동집(申瞳集, 1924- , 현당 玄堂 ) 시인. 대구 생. 호는 현당(玄堂). 1959년 서울대 정치학과 졸. 미주 인디애나 대학 수학. 영남대 교수 역임. 아시아 자유문학상 수상. 대한민국예술원상 수상. 1948년 대학 재학 중 첫 시집 [대낮]으로 등단. 1954년 시집 [서정의 유형]으로 아시아 자유 문학상 수상. 1980년 한국현대시인상. 1981년 대한민국문화예술상. 1982년 대한민국예술원상, 1987년 대한민국옥관문화훈장 수상 인간의 존재 의식을 추구하는 작품을 통해 문체와 소재의 다양한 실험을 시도함으로써 시의 표현 기교를 증대시켜온 대표적 시인이다. 6·25전쟁의 극한 상황에서 살아 남은 자의 존재론적 갈등을 형상화한 초기 작품 《목숨》(1954)을 비롯해 《송신》(1973), 《오렌.. 2016. 6. 8.
기형도(奇亨度)의 생애와 문학세계 기형도(奇亨度, 1960~1989) 시인. 1960년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도에서 3남 4녀 중 막내로 태어나 불우하고 가난한 어린 시절을 보내었다. 1979년 연세대학교 정법대학 정법계열에 입학하여 1985년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였다. 1984년 중앙일보에 입사하여 정치부·문화부·편집부에서 일하며 지속적으로 작품을 발표하였다. 1989년 3월 7일 새벽 시집 출간을 위해 준비하던 중, 종로의 한 심야 극장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되었고 사인은 뇌졸중이었다. 그해 5월 유고 시집 『입 속의 검은 잎』(문학과지성사)이 출간되었다. 중학교 때부터 시를 쓰기 시작한 시인은 연세대 교내 문학 서클인 '연세문학회'와 안양의 문학 동인 '수리'에 참여하면서 습작 및 시작 활동을 했다. 대학 재학 시절 연세대 신문인 『.. 2016. 6. 7.
김현승(金顯承)의 생애와 문학세계 김현승(金顯承, 1913-1975) 시인. 호는 다형(茶兄). 평양 출생. 아버지의 목회지(牧會地)를 따라 제주시에서 유년시절을 보냈으며, 1936년에 숭실전문학교를 수료하였다. 그 뒤 조선대학교와 숭실대학교 교수, 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 등을 역임하였다. 문단활동은 숭실전문학교 재학 때 장시(長詩) <쓸쓸한 겨울저녁이 올 때 당신들은>이 양주동의 추천으로 34년 《동아일보》에 게재되면서부터였다. 독실한 기독교인으로서 기독교정신과 인간주의를 바탕으로 한 내용을 시로 형상화하여 독특한 시세계를 이루었다. 제 1 시집 《김현승시초(1957)》와 제 2 시집 《옹호자의 노래(1963)》에 나타난 전반기의 시적 경향은 주로 자연에 대한 주관적 서정과 감각적 인상을 노래한 것으로서, 점차 사회정의에 대한 윤리적 관.. 2016. 6. 7.
조지훈(趙芝薰)의 생애와 작품세계 조지훈(趙芝薰 1920 - 1968) 1920.12.3. 경북 영양군 일월면 주곡동 출생. 본명은 동탁(東卓). 부 趙憲泳(제헌 및 2대 국회의원, 6.25 때 납북됨) 모 柳魯尾의 3남 1녀중 차남. 조부 趙寅錫으로부터 한학 수학, 영양보통학교. 혜화전문학교(현 동국대) 문과 졸업(1941). 불교전문 강원(오대산 월정사(月精寺)) 강사를 거쳐 조선어학회(한글학회) 큰사전 편찬원(1942). 조선문화 건설협회원(1945), 명륜(明倫)전문 강사(1945),경기여고교사(1946), 서울여의대 교수(1946). 전국문필가협회 중앙위원(1946), 청년문학가협회를 창립, 고전문학부자역임(1946), 동국대강사(1947), 1947년부터 고려대 문과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초대 소장으로 활동.. 2016. 6. 7.
황지우(黃芝雨)의 생애와 작품세계 황지우(黃芝雨, 1952년 1월 25일 ~ ) 1952년에 해남군 북일면 신월리 배다리 마을에서 태어났다. 1955년 광주로 이사를 가서 광주 중앙초등학교에 입학하였다. 중학교 시절 정음사에서 나온 세계문학전집을 읽었고, 이 무렵부터 문학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고 한다. 1980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입선하고 《문학과지성》에 시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한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극작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80년대 이전에는 좀처럼 찾아보기 어려운 해체주의적 양식의 시를 쓴 시인이다. 그의 해체적 양식의 시들은 80년대의 암울했던 시대 상황을 우회적으로 비판하기 위한 일종의 은유이자 풍자인 셈이다. 부조리한 사회 현실을 풍자적, 실험적으로 표현한 그의 시는 시대적.. 2016. 6. 3.
김지하(金芝河)의 생애와 작품세계 김지하 [金芝河] (1941∼ ) 시인. 본명 김영일(金英一), 호는 노겸(勞謙) 1941년 전남 목포(木浦) 출생 1964년 한일회담 반대 시위에 적극 가담했다가 체포ㆍ투옥되어 4개월 동안 옥살이를 함 1966년 서울대 미학과 졸업. 1969년 「황톳길」 등 시 5편을 『시인 詩人』지에 발표 1970년 5월, 담시 『오적(五賊)』 을 발표하여 반공법 위반으로 체포ㆍ투옥. 1974년 민청학련 사건으로 사형 선고받음, 7월 무기징역 감형 1975년 2월 출옥후 옥중기 「고행―1974」 발표, 재차 투옥됨 1976년 형집행정지로 석방되었으나, '인혁당 사건'의 진상을 밝혀 석방된 다음달에 다시 체포. 1975년 옥중에서 특별상 수상, 노벨문학상 후보 추대됨 1980년 12월 형집행정지로 석방 1981년 과 .. 2016.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