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문학자료실/현대소설자료실

무정/이광수/현대소설-이해와 감상_by황소걸음

by 황소 걸음 2017. 2. 9.
반응형

이광수 <무정> 이해와 감상_by황소걸음

<핵심 정리>
* 갈래 : 장편소설, 현대소설, 계몽소설
*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 작가 개입이 많다.
* 배경 : 시간적 -

            공간적 - 
* 성격 : 민족적, 계몽적, 설득적
* 문체 : 구어체(언문 일치), 산문적 묘사체
* 사상 : 계몽주의, 민족주의, 인도주의
* 주제 : 자유 연애와 민족의식의 고취,
            세속적 사랑의 계몽적 민족주의로의 승화
* 출전 : <새벽>(1960)
* 구성 : 
* 의의 : 우리 나라 최초의 근대적 장편 소설

<줄거리>

  이야기의 서두는 경성 영어 학교 교사 이형식(李亨植)이 장안의 부호 김장로의 고명딸인 선형(善馨)의 영어 개인 지도를 부탁 받고 첫번 방문하는데서부터 시작된다. 본래 형식은 동경 유학을 마친 당대 일류 지식인이나 일찍이 고아가 되어 역경을 겪은 데다 내성적 성격이라 여성 교제가 거의 없었다. 그러던 중 뛰어난 미모인 선형에게 반한다. 그리고 그 날 밤 하숙집에 돌아와서 형식은 뜻밖의 손님인 박영채(朴英彩)를 만나게 된다. 영채는 이형식이 어릴 때 고아일 적에  형식을 데려다 기르고 자식처럼 대하여 준 은사 박 진사의 딸인데  장차 형식의 아내가 될 사람으로 정혼했었다.
  그러나 박 진사의 개화 운동이 세상 사람들의 개화 문명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실패하고 집안이 망하자  형식이는 영채와 이별하게 되었는데 , 7년만에 해후하여 그 뒤 영채가 감옥에 계신 아버지를 도우려 기생이 되고 형식을 사모하며 수절해 왔다는 전말을 듣게 된다. 이 과정에서 형식은 눈물을 흘리는 한편, 그녀가 기생이라는 혐오감과 미인이라는 유혹의 갈등을 주체하지 못한다. 이에 형식은 선형에 대한 연정과 은사의 딸이자 지난 날 아내로 암시되었던 영채에 대한 의무 사이에서 고민하고 갈등을 겪게 된다.  또, 기생인 영채를 구해낼 돈 천 원이 없음을 한탄하는 사이에 영채는 지금까지 형식을 위해 지켜 오던 정조를  배학감(명식), 경성학교 교주의 아들인 김현수 일당에게 유린당하고 만다. 그리고 유서를 남긴 채  자살하러 평양행 기차에 오른다.
  그녀의 유서를 쥐고 눈물을 뿌리며 영채를 만나려 뒤따라 평양에 간 이형식은 소득없이 돌아와서 오히려 학생들에게 기생을 따라갔다는 오해만 사고 이에 분격하여 급기야 학교를 그만두기에 이른다. 이는 김현수가 거짓소문을 낸 까닭이었다. 이런 형식에게 뜻밖에 김장로댁 선형과의 결혼 신청이 들어오고  형식은 이를 받아 들여 약혼식을 치른 후에 함께 미국에 유학을 할 준비를 하게 된다.
  한편, 자살길에 오른 영채는 차 안에서 소위 신여성인 병욱을 만나  그녀의 황주집에 한 달간 머무는 동안 봉건적 사고 방식에서 근대적 합리 주의로 정신적인 발전을 이룬다. 그리고 병욱의 호의로 함께 동경 유학길에 오르던 중, 기차 안에서 미국 유학을 떠나는 형식과 선형을 만나게 된다. 이리하여 형식은 새삼 애정과 의리 사이에서 갈등에 빠지게 되고 선형과 영채 사이에는 삼각 관계의 불협 화음이 생긴다. 기차는 삼랑진 수재 현장에 이르러 연착하게 되고 여기에서 네 젊은이는 고통을 당하는 수재민을 위해 자선 음악회등  함께 봉사활동을 전개한다. 이 과정에서 그들간의 개인적인 감정은 사라지고 , 그 대신 토론을 통해 허물어진 민족의 장래를 담당할 역군으로서의 사명을 다짐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등장 인물들의 근황이 소개되고  작가의 계몽 의식이 서술된다.


<등장 인물>

 - 이형식 : 근대적 인간형. 과도기의 전형적인 지식인.
 - 김선형 : 김장로의 딸. 형식과 결혼.
 - 박영채: 박 진사의 딸. 구봉건 세대의 인습에 희생당함.
 - 김병욱: 자유 분방한 생활 태도를 가진 전형적인 신여성

 
<감상> 

  [무정]은 1917년 1월 1일부터 6월 14일까지  <매일신보>에 연재된 이광수의 첫 장편 소설이다. 이 작품은 작가의 대표작이자 우리 나라 최초의 근대 장편 소설이다. [무정]은 민족주의적 이상과 계몽주의적 정열이 가장 노골적으로 드러난 작품이다. 따라서 무정은 공리성을 최우선 과제로 삼는다. 그러한 공리성과 목적성 앞에 모든 개인의 고민과 갈등은 의미를 잃고 만다. 그런 결과로 [무정]에는 '우리'만 있고 '나'는 없다. 봉건 도덕 의식을 가진 박영채와 근대적 인간형인 이형식을 비롯한 여러 유형의 과도기적 인물을 설정하여 상호 갈등을 전개시킴으로서 전환기의 시대상과 가치관을 집약적으로 표현하였다. 직유의 표현 기교와 화자(話者)의 격앙된 영탄이 드러나고 일부 문어체(文語體)적인 문투와 극적인 필연성이 다소 미흡하긴 하지만 참신한 문체와 치밀한 구성도 부분적으로 존재한다.
  신소설과 비교하여  인물들의 내면 공간 확대를 통한 심리 묘사, 생생하고 개성적인 인물의 창조 등이  발전된 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이 작품의 주제를 이루는 큰 기둥은 민족주의 이념과 자유 연애 사상인데 이는 이광수의 다른 작품에도 계속 드러나게 된다. 물론, 예술의 효용성면에서는 사회적 공리성(功利性)에 지나친 주안점을 두었다는 것이 결점으로 지적될 수 있지만  그 당시의 문단 상황으로서는 분에 넘친 것이었다.
  또한, [무정]은 기본적으로 사제 관계를 축으로 인물이 맺어 진다. 박 진사와 형식, 형식과 선형, 그리고 삼랑진에서의 형식과 세 여자는 사제 관계로 볼 수 있다. 이런 구조는 교육을 통하여 민족을 살리려는 안창호의 준비론 사상과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무정의 대부분이 민족의 장래에 대한 고민보다는 사사로운 사랑의 문제로 인한 갈등인 점은 준비론의 낭만적 적용이라는 비판을 면하기가 어렵다.

 

 

<작가 연구>

 

  이광수의 생애와 문학세계 바로가기

 

 

 

꿀팁_ 좋은 국어자료 빨리 찾는 방법

 

좋은 국어 자료가 필요할 때는 네이버나 다음 검색에서 찾고자 하는 검색어 앞이나 뒤에 '황소걸음'을 추가해 보세요.

예를 들어 '서경별곡'에 대한 자료를 찾을 때 '황소걸음 서경별곡' 또는 '서경별곡 황소걸음' 이런 식으로 검색하시면

황소걸음 블로그의 충실한 자료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