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문학자료실/고전시가

동심가/이중원/개화가사 - 간결한 정리와 작품 감상

by 황소 걸음 2017. 1. 3.
반응형

이중원, 동심가(同心歌)

 

 

 <현대어 해석>

 잠을 깨세, 잠을 깨세,

 사천 년이 꿈속이라,

 모든 나라가 함께 모여

 온 세상이 한 집이로다.

 

 잡다한 일일랑 모두 버리고

 위 아랫 사람이 마음을 같이하고 함께 덕을 닦으세.

 남의 부강을 부러워하고

 근본 없이 제 주장대로 하랴.

 

 범을 보고 개를 그리고,

 봉황을 보고 닭을 그린다.

 문명을 개화하려고 하면

 실제 형상대로의 일이 제일이라.

 

 못에 고기를 부러워만 하지 말고

 그물을 잡아 보세.

 그물을 맺기 어려우랴.

 두 고를 맞죄어(합심 협력) 매어 보세.

 

<어휘 및 어구 풀이>

 

[1]

- : 부정적 시어이며 허황된 꿈

- 사천 년: 우리민족의 역사

- 사천 년이 꿈속이라: 봉건적인 사고 방식에 대한 비판

- : 무지몽매(無知蒙昧)

- 만국: 세계 여러 나라

- 회동(會同): (같은 목적으로) 여럿이 모임

- 사해(四海): 온 세상

- 만국이 회동하여 사해가 일가로다: 사해동포주의, 세계주의를 나타냄

[2]

- 구구세절(區區細節): 잘고 구차한 조목(여러가지 번거로운 일들)

- 상하 동심: 위 아랫 사람이나 마음을 같이 함

- 동덕(同德): 함께 덕을 닦음

- 불어 하고: 부러워 하고

- 회빈(回賓): 주장하는 사람을 제쳐 놓고 제 마음대로 일을 처리함(회빈작주의 준말)

- 회빈 작주(回賓作主): 손님이 주인처럼 구는 짓과 같이 무슨 일이든 타인을 제쳐 놓고 제 마음대로 행동하는 짓

- 근본 업시 회빈: 근본도 갖추지 않고 주인 노릇하랴

[3]

- 실상(實狀): 실제 형상

- 범을 보고 개 그리고 봉을 보고 닭 그린가: ‘은 개화실상을 나타내며 은 개화의 허상을 나타냄.

[4연]

- 못셰: 못에, 연못에

- 못세고기: 문명 개화국의 부와 권력이며, 서구의 선진국이다.

- 그믈 맺어 잡아보세: 문명개화의 구체적 방안 실천

- 동심결(同心結): 두 고를 내고 맞죄어서 매는 매듭, 합심 협력, 민족의 단합된 마음을 상징함.

 

<작품 개관>

* 지은이 : 이중원

* 갈래 : 개화 가사

* 형식 : 4·44음보의 가사체

* 어조 : 설득적, 청유적

* 성격 : 애국적, 계몽적, 교훈적, 민족적, 설득적

* 특징 : 설득적인 청유의 어조를 사용함.

* 표현 : 청유법, 대구법, 풍유법, 은유법

* 주제 : 문명 개화를 위한 일치 단결

* 구성 : 1- 개화의 고취

          2- 우리의 염원

          3- 개화의 본질

          4- 개화의 자세

* 출전 : <독립신문>(1896)

 

<작품 연구>

  이 작품은 가사라는 전 시대의 형식에 민족 단합과 문명 개화라는 새로운 시대 정신을 담은 개화가사이다. 우리의 근세사에서 가장 격동의 시기였던 개화기는 외세와 외국 문물이 급격하게 유입되었고, 그런 만큼 민족의 각성과 저항도 강하게 요구되었던 시기였다.이 노래는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따라 우리도 잠을 깨어 문명 개화를 실천하여 보자고 역설하고 있다. 시대적 흐름을 직시하고 주체성을 견지할 것을 주장하면서 우리의 현실에 대한 반성과 그 극복의 방법까지 제시하고 있으며, 사해동포주의의 시기가 도래하였는데도 다툼과 공리공론만 일삼고 있는 자들에게 잠을 깰 것을 촉구한다. 그러면서 다른 사람의 부강을 부러워하지 말고 단결하여 나아갈 것을 '그물''동심결'의 비유로 나타내고 있다. 개화가사의 대표적 작품으로 애국 계몽 사상을 담고 있으며, 개화기 초의 낙관적인 시대 전망과 시대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상징적 표현들로 나타낸 것이 특징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