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전, '고공가(雇工歌)'
<해설>
임진왜란 직후에 허전이 쓴 노래로, 국사(國事)를 한 집안의 농사일에 비유하여, 정사에 힘쓰지 않고 사리 사욕만을 추구하는 관리들을 집안의 게으르고 어리석은 머슴에 빗대어 통렬히 비판한 작품이다. 임진왜란 때 왜적에게 그렇게 무참히 당하고 유교적 이상이 깨어진 비참한 현실에 직면하여, 그러한 현실을 수습하려 들지 않는 신하들의 나태한 모습을 은유적 수법으로 잘 형상화하였다. 이 작품에서 지은이가 관료 사회를 통렬히 비판하고 있는 것은 그 이면에 유교적인 이상 사회를 재건하려는 숭고한 의지가 내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핵심 정리>
* 연대 : 조선 선조 때(임진왜란 직후)
* 성격 : 교훈적, 계도적, 경세적(警世的), 비판적, 우의적
* 형식 : 가사체(3․4조, 4음보의 연속체)
* 제재 : 어리석은 머슴의 행태
* 구성 : 요지 서사에서 집안의 내력을 이야기한 후, 본사에서 머슴들의 반목으로 인한 폐해와 머슴들의 각성을 촉구하였고, 결사에서 사려 깊은 새 머슴을 기다리는 심정을 노래하였다.
* 주제 : 나태하고 이기적인 관리들의 행태 비판
* 내용 : 시적 화자가 비오는 날 새끼를 꼬는 사이에 머슴(고공)들을 꾸짖고 경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처음에 조부모가 살림살이를 시작할 때(나라를 세울 때) 고공(관리)들은 다 부지런하고 검소한 일꾼들이었는데, 요즈음 고공들은 밥사발(이권)의 크고 작음과 옷의 좋고 나쁜 것이나 서로 다툴 뿐이지, 강도(왜적)가 쳐들어와 집안의 재산을 죄다 망쳐 놓았는데도 합심협력하여 도둑을 막고 부지런히 농사를 지을 생각은 않고 옷밥만 다투고 있다고 개탄하다 보니 새끼 한 사리를 다 꼬았다는 것이다.
<작품 해석>
[ 1 ] 집안의 내력(來歷) 집의 옷 밥을 언고 들먹는 져 雇工(고공)아. 제 집의 제쳐 놓고 빌어먹는 머슴[조정의 신하] 우리 집 긔별을 아는다 모로는다. 소식. 내력[→조선의 역사] 비오는 날 일 업슬제 삿꼬면셔 니르리라. 새끼를 꼬면서 처음의 한어버이 사롬사리 하려 할제, 조부[→태조 이성계] 살림살이 仁心(인심)을 만히 쓰니 사람이 졀로 모다, 어진 마음 많이 모여서 플 뼛고 터을 닷가 큰 집을 지어내고, 베고 닦아 나라 셔리 보십 장기 쇼로 田畓(전답)을 起耕(기경)하니, 써레 보습 쟁기 일구어내니 오려논 터밧치 여드레 가리로다. 올벼논 텃밭이 8일 동안 갈만한 넓은 땅[→조선 팔도] 子孫(자손)에 傳繼(전계)하야 代代(대대)로 나려오니, 전하고 계승하여 논밧도 죠커니와 雇工(고공)도 勤儉(근검)터라. 머슴
[ 2 ] 머슴들의 반목으로 인한 폐해 저희마다 여름지어 가암리 사던 것슬, 농사 지어 부유하게 요사 雇工(고공)들은 혬이 어이 아조 업서, 생각이 아주 없어서 밥사발 큰나 쟈그나 동옷시 죠코 즈나, →녹봉 작거나 입은 옷이 좋거나 나쁘거나, 마음을 닷호는 듯 호슈을 새오는 듯, 다투는 듯 우두머리 시기하는 듯 무슴 일 걈드러 흘긧할긧 하나산다. 감겨들어서 반목을 일삼느냐? 너희네 일 아니코 時節(시절) 좃차 사오나와, 일 아니하고 흉년이 들어서, 갓득의 내 셰간이 플러지게 되야는대, 가뜩이나 살림 줄어들게 엇그제 火强盜(화강도)에 家産(가산)이 蕩盡(탕진)하니, 강도[→왜적] 집 하나 불타 붓고 먹을 껏시 젼혀 업다. 불타 버리고 크나큰 歲事(세사)을 엇지하여 니로려료. 세간 살이[→국가 재정] 일으키려는가? 金哥(김가) 李哥(이가) 雇工(고공)들아 새마음 먹어슬라. 새 마음을 먹으려무나.
[ 3 ] 머슴들의 각성을 촉구 너희네 졀머는다 헴 혈나 아니슨다. 생각하려고 아니하느냐 한 소태 밥 먹으며 매양의 恢恢(회회)하랴 한 솥에[→한 조정에] 서로 아웅다웅하는 모양 한 마흠 한 뜻으로 녀름을 지어스라. 농사 한 집이 가암열면 옷밥을 分別(분별)하랴. 부유하게 되면 인색하랴 누고는 장기 잡고 누고는 쇼을 몰니. 누구 쟁기 밧 갈고 논 살마 벼 셰워 더져두고, 갈아 심어 날 됴흔 호매로 기음을 매야스라. 칼날 김 매자꾸나 山田(산전)도 것츠럿고 무논도 기워간다. 거칠어졌고 무성하여간다 사립피 블목 나셔 볏 겨태 셰올셰라. 도롱이 삿갓 말뚝에 씌워서[→허수아비] 七夕(칠석)의 호매 씻고 기음을 다 맨 후의, 칠월 칠석에 김 삿꼬기 뉘 잘하며 셤으란 뉘 엿그랴. 새끼 꼬기 가마니 엮을 것인가 너희 재조 셰아려 자라자라 맛스라. 헤아려 서로서로 맡아라 가을 거둔 후면 成造(성조)를 아니하랴. 추수한 집을 짓는 것 집으란 내 지으게 움으란 네 무더라. 지을 것이니 묻어라 너희 재조을 내 斟酌(짐작)하엿노라. 재주 너희도 머글 일을 分別(분별)을 하려므나. 먹고 살 일 명셕의 벼를 넌들 됴흔 해 구름 끼여 볏뉘을 언제 보랴. 멍석 햇볕 방하을 못 찌거든 거츠나 거츤 오려, 방아 거칠고 거친 올벼(이른 벼) 옥갓튼 白米(백미)될 쥴 뉘 아라 보리스니,
[ 4 ] 사려 깊은 새 머슴을 기다림 너희네 다리고 새 사리 사쟈 하니, 데리고 새 살림 엇그제 왓던 도적 아니 멀리 갓다 하대, ‘왜적’을 말함 너희네 귀눈 업서 져런줄 모르관대, 듣고 보지를 못해서 화살을 젼혀 언고 옷밥만 닷토난다.
너희네 다리고 팁는가 주리는가. 추운가 粥早飯(죽조반) 아찬 져녁 더 하다 먹엿거든, 조반 전에 먹는 죽 은혜란 생각 아녀 제 일만 하려하니,
헴 혜는 새 들이리 어내제 어더이셔, 헤아릴 줄 아는 새 머슴을 집 일을 맛치고 시름을 니즈려뇨. 잊을 것인가 너희 일 애다라하며셔 삿 한 사리 다 꼬괘라. 애달파하면서 새끼 한 사리 꼬도다 |
<현대어 풀이>
제 집 옷과 밥을 두고 빌어먹는 저 머슴(고공-조정의 신하)아. 우리 집 소식(내력-조선의 역사)을 아느냐 모르느냐? 비 오는 날 일 없을 때 새끼 꼬면서 말하리라. 처음에 조부모님(태조 이성계)께서 살림살이를 시작할 때에, 어진 마음을 베푸시니 사람들이 저절로 모여, 풀을 베고 터를 닦아 큰 집을 지어 내고, 써레, 보습, 쟁기, 소로 논밭을 기경(起耕- 땅을 갈아 논밭을 만듦)하니, 올벼논과 텃밭이 여드레 동안 갈 만한 큰 땅(조선의 팔도)이 되었도다. 자손에게 물려주어 대대로 내려오니, 논밭도 좋거니와 머슴들도 근검하였다.
저희들이 각각 농사지어 부유하게 살던 것을, 요새 머슴들은 생각이 어찌 아주 없어서, 밥그릇(녹봉)이 크거나 작거나 입은 옷이 좋거나 나쁘거나, 마음을 다투는 듯 우두머리를 시기하는 듯, 무슨 일에 감겨들어 흘깃흘깃 반목을 일삼느냐? 너희들 일 아니하고 시절조차 사나워서(흉년조차 들어서), 가뜩이나 내 살림이 줄어들게 되었는데, 엊그제 강도(왜적)를 만나 가산이 탕진하니, 집은 불타 버리고 먹을 것이 전혀 없네. 크나큰 세간 살이(국가의 재정)를 어떻게 해서 일으키려는가? 김가 이가 머슴들아, 새 마음을 먹으려무나.
너희는 젊다 하여 생각하려고 아니하느냐? 한 솥에 밥 먹으면서 항상 다투기만 하면 되겠느냐? 한 마음 한 뜻으로 농사를 짓자꾸나. 한 집이 부유하게 되면 옷과 밥을 인색하게 하랴? 누구는 쟁기를 잡고 누구는 소를 모니, 밭 갈고 논 갈아서 벼를 심어 던져 두고, 날카로운 호미로 김매기를 하자꾸나. 산에 있는 밭도 잡초가 우거지고 무논에도 풀이 무성하다. 도롱이와 삿갓을 말뚝에 씌워서 허수아비를 만들어 벼 곁에 세워라.
칠월 칠석에 호미 씻고 기음을 다 맨 후에, 새끼는 누가 잘 꼬며, 섬(곡식을 담기 위해 짚으로 엮은 것)은 누가 엮겠는가? 너희들의 재주를 헤아려 서로 서로 맡아라. 추수를 한 후에는 집 짓는 일을 아니하랴? 집은 내가 지을 것이니 움은 네가 묻어라(만들어라). 너희 재주를 내가 짐작하였노라. 너희도 먹고 살 일을 깊이 생각하려무나. 멍석에 벼를 널어 말린들 좋은 해를 구름이 가려 햇볕을 언제 보겠느냐? 방아를 못 찧는데 거칠고도 거친 올벼가, 옥같이 흰 쌀이 될 줄을 누가 알아 보겠는가?
너희들 데리고 새 살림 살고자 하니, 엊그제 왔던 도적(왜적)이 멀리 달아나지 않았다고 하는데, 너희들은 귀와 눈이 없어서 그런 사실을 모르는 것인지, 방비할 생각은 전혀 하지 않고 옥과 밥만 가지고 다투느냐? 너희들을 데리고 행여 추운가 굶주리는가 염려하며, 죽조반 아침 저녁을 다 해다가 먹였는데, 은혜는 생각지 않고 제 일만 하려 하니, 사려 깊은 새 머슴을 어느 때에 얻어서, 집안 일을 맡기고 걱정을 잊을 수 있겠는가? 너희 일을 애달파하면서 새끼 한 사리를 다 꼬았도다.
<참고 자료>
1. 고공가의 화답가
이 작품의 화답가(和答歌)로 이원익의 ‘고공답주인가(雇工答主人歌)’가 있는데, 이것은 임진왜란 이후 집권층이 정사(政事)보다는 당파 싸움에 힘쓰자, 작자가 '어른 종(영의정)'의 입장에서, '종(신하)'들을 나무라고 '마나님(임금)'을 경계하려는 의도로 지은 작품이다.
2. '고공가' 전문
3. '고공가' 학습 자료 HWP파일
'고전문학자료실 > 고전시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이방원/고시조-이해와 감상 by황소걸음 (0) | 2017.01.22 |
---|---|
이 몸이 죽어죽어/정몽주/고시조-이해와 감상 by황소걸음 (0) | 2017.01.22 |
만흥/윤선도/고시조 - 이해와 감상_by황소걸음 (0) | 2017.01.15 |
어부사시사/윤선도/고시조 - 이해와 감상_by황소걸음 (0) | 2017.01.15 |
훈민가/정철/고시조 - 이해와 감상 by황소걸음 (0) | 2017.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