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문학자료실/고전시가

오백년 도읍지를/길재/고시조-이해와 감상 by황소걸음

by 황소 걸음 2017. 1. 22.
반응형

 

  오백년(五百年) 도읍지(都邑地)를 필마(匹馬)로 도라드니

  산천(山川)은 의구(依舊)하되 인걸(人傑)은 간 듸 업다

  어즈버 태평연월(太平烟月)이 꿈이런가 하노라

                                                                                   -길재

 

[말뜻]

- 필마로 : 한 필 말을 타고

- 의구하: 옛과 같으되

- 인걸 : 고려의 충신들

- 어즈버 : 감탄사

- 태평연월 : 태평스러운 시절.

 

[핵심 정리]

* 갈래 : 평시조, 단시조

* 성격 : 회고적, 감상적

* 표현 : 대조법, 영탄법

* 제재 : 오백년 도읍지

* 정서 : 무상감(無常感)

* 주제 : 멸망한 옛 왕조에 대한 회고

* 출전 : <병와가곡집>

 

[현대어 풀이]

   오백년이나 이어온 고려의 옛 서울(松都;開城)에 한 필의 말을 타고 들어가니,

   산천의 모습은 예나 다름없으나, 인걸은 간 데 없다.

   아, (슬프다!) 고려의 태평한 시절이 한낱 꿈처럼 허무하도다.

 

[작품 해]

   고려 왕조 멸망의 한을 노래한 회고가(懷古歌)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작품이다. 필마를 타고 돌아드는 고려 유신의 외로운 신세가 흥성했던 고려 왕조의 태평연월에 대비되어 무상감을 더해 주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