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문학자료실/현대소설자료실

징소리/문순태/현대소설-간결한 정리와 줄거리, 작품감상

by 황소 걸음 2016. 6. 20.
반응형

문순태 <징소리>

 

<작품 개관>

* 갈래 : 단편소설, 연작소설

* 배경 : 시간 - 1970년대 / 공간 - 전남 장성호 수몰 마을

* 경향 : 사회 고발적

* 시점 :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

* 표현 : 주로 서술에 의지함. 인물 묘사는 간접적인 방법이 위주.

* 의의 : 1970년대부터 본격화된 농촌의 붕괴와 도시 빈민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사회 소설로서, 우리의 전통적 정서인 한()이 현대 사회에서 어떤 모습으로 변용되어 나타나는가를 진지하게 모색한 작품.

* 주제 :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된 농촌과 농촌 출신 도시 빈민들의 고달픈 삶.

* 출전: <창작과 비평> 1978

 

<작품 구성>

- 발단 : 장성호 주변의 수몰 마을. 칠복이가 징을 두들겨 대다가 낚시꾼들에게 맞음

- 전개 : 어렵게 자라 순덕과 결혼하나 정당한 보상도 못받고 광주시 판자촌으로 밀려난 칠복의 과거 회상.

- 위기 : 순덕의 불륜과 가출. 칠복과 그 딸이 고향에 돌아옴.

- 절정 : 마을 사람들이 공모하여 칠복을 내쫓아 버림.

- 결말 : 밤에 마을 사람들이 빗소리에 뒤섞인 징 소리를 들으며 칠복이의 한()에 몸을 떨음.

 

<줄거리>

1.

  방울재라는 마을 주변에 장성댐이 축조되면서 이지역이 수몰지구가 된다. 이곳 사람들은 슬퍼하면서도 보상금을 챙겨 도시로 떠난다. 방울재 근처를 벗어나 본적이 없는 칠복은 아내 때문에 광주로 가지만 적응하지 못하고 아내에게 버림받은 채 딸과 함께 장성호로 돌아온다. 그가 호수 주변에서 미친듯이 징을 두들기다가 낚시꾼들에게 맞는다. 방울재 사람들은 그 때문에 손님이 끊길까봐 칠복을 내 쫓는다. 하지만 빗소리에 섞여 들려오는 징소리에 몸을 떤다.

 

2.

  칠복은 장성댐이 건설되면서 농토를 잃어버리고 아내마저 달아나자 어린 딸을 업고 무일푼으로 호수 가로 돌아온 이래, 징을 울려 낚시꾼들을 방해하다가 매를 맞곤 하는 위인이다. 마을 사람들은 호수에 잠겨버린 방울재를 떠나 낚시꾼과 관광객 상대로 매운탕을 만들어 팔며 생계를 이어 가는 처지인데, 칠복이가 장사를 방해하니 그를 동정하면서도 쫓아낼 궁리만 한다.

  원래 칠복이는 조실부모하고 외가에서 눈치밥 얻어먹으며 머슴처럼 장성했는데, 색시로 맞았다는 것이 도시물 먹은 순덕이었다. 순덕이는 결혼한 지 한 달도 못되어 도시로 나가 살자고 성화였다.

  칠복이 내외는 광주시 산꼭대기 사글새 방으로 밀려가 도시 생활을 한다. 순덕이는 며칠만에 식당 주방에 취업하고, 농사일 외엔 아무것도 할 줄 모르는 칠복은 면목없이 아내의 수입으로 먹고 살다가 광주시 인근 장성읍에 나가 농사 품을 팔며 20만 원을 벌어 집으로 돌아온다. 일부러 아내를 놀라게 해 주려고 소리 안 나게 집으로 들어가 불을 켜는 순간, 순덕이가 웬 놈과 벌거벗고 누워 있는 현장을 발견한다. 칠복이 식칼을 들고 방으로 들어섰을 때엔 두 년놈은 벌써 줄행랑을 놓은 뒤였다거지가 되어 고향으로 돌아온 칠복은 징을 애지중지하며 잘 때도 꼭 베고 잔다.

  마을 사람들은 징을 빼앗아 보기도 했으나, 칠복이는 살기(殺氣)를 보이며 제 징을 지킨다. 주민들은 칠복을 내쫓기로 하고 억지로 칠복이 부녀를 읍으로 들어가는 버스에 태운다. 칠복의 친구인 봉구는 칠복에게 이천원을 찔러주며 다시는 오지 말라고 한다. 빗방울이 굵어지는데, 봉구의 귀엔 바람 소리인지 징 소리인지 모를 소리가 끊이지 않고 들려 온다. 마을 사람들도 그 귀기(鬼氣) 서린 징 소리에 몸을 떨며 잠을 뒤척인다.

 

<등장 인물>

- 허칠복 : 장성댐 수몰민으로서 징채잡이이며 구시대적 인물의 전형. 고향을 떠난 지 삼년 만에 미쳐서 딸을 데리고 돌아오지만 결국 고향에서 쫓겨나는 현대 산업화의 희생이 된 인물외가에서 머슴처럼 살다가, 순덕이와 결혼. 자갈논을 부치며 살아가다 장성댐이 건설되어 마을이 수몰되자 보상도 못 받고 광주로 밀려 들어와 낯선 도시에서 적응하지 못하고 아내에게마저 버림받는다.

- 임순덕 : 칠복의 아내. 방탕한 인물. 마을이 수몰된 후 도회지에 나와 식당에서 일하다 주방장의 유혹에 가출한 부도덕한 인물.

- 봉구 : 칠복의 어렸을 적부터의 친구. 칠복의 처지를 이해하고 도와주는 편이나, 끝내 칠복을 내쫓는 데 합류.

- 금순 : 여섯 살 난 허칠복의 딸

- 강촌 영감 : 와락와락하는 성질을 가진 회갑에 가까운 노인. 매운탕집의 생계를 위해 칠복이 부녀를 매정하게 쫓아 보내는 인물.

 

<작품 감상>

1.

  1970년대의 우리 사회는 한편으로 눈부신 경제 성장이 나타나고 다른 한편으로는 성장의 그늘 아래 속절없이 경쟁력을 잃어가는 부문이 두드러지는, 사회의 양극화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시기에 자리잡는다. 따라서, 경제 성장에 방해되는 일체의 요소 농촌 진흥과 노동자 복지, 환경 보존 등은 아예 제기조차 될 수 없도록 경제의 불균형 상태가 심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심각한 분배의 불공정성과 부정 부패, 인권 유린, 황금 만능주의와 극단적인 이기주의 현상이 불거졌다. 한마디로 말해 1970년대는 전통 사회의 붕괴 현상이 눈에 띄게 나타난 시기라 하겠다.

  작가 문순태 역시 이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그는 주로 자신의 성장지인 전남 일대의 농촌을 주목하며, 전통적 공동체가 무너지고 있으며 선량하나 무지한 민중들이 어떻게 희생되는가 하는 점을 끈질기게 추적한다. 그는 이 소설에서 '칠복'으로 대표되는 농촌 빈민(, 그대로 도시의 빈민이기도 하다.)의 삶을 통해 고난의 길을 걸어야 했던 우리 농민의 전통적 정서인 한()을 구체화하고 있다.

 

2.

  무리한 산업화로 한사람의 인생이 망쳐졌다. 얼마나 안타가운가? 늙으면 자기 고향에 의지하며 과거를 돌이켜보면서 힘을 얻는 사람들이 많은데 도시화가 되면서 고향을 잃는 사람들이 쉴 곳을 잃고있다. 너무 무리한 산업화로 인간이 쉴곳을 잃는 다는 것은 참 모순이 되는 것 같다. 편리하게 살기위해 산업화에 힘을 쏟는 우리가, 쉬기에 가장 편한 고향을 파괴한다는 것은 너무 어리석은 일이다.

 

3.

  사회의 양극화 현상의 투영, 경제 성장에 방해되는 일체의 요소 - 농촌 진흥과 노동자 복지, 환경 보존 등은 제기조차 할수 없도록 된 경제의 불균형 상태의 심화 양상을 반영하였다. 이 과정에서 심각한 분배의 불공정성과 부정 부패, 인권 유린, 황금 만능주의, 극단적인 이기주의 등 전통 사회의 붕괴 과정이 그려져 있다 할 것이다.

  전통적 정서인 한()의 구체화 - 전통적 공동체가 왜 무너지고 있으며 선량하지만 무지한 민중들이 어떻게 희생되고 있으며,칠복으로 대표되는 농촌 빈민(또한 이것은 도시 빈민)의 삶을 통해 고난의 길을 걸어야 했던 우리 농민들의 한의 정서가 드러나고 있다.

 

<작자 소개>

 

  문순태의 생애와 문학세계 바로가기

 

<참고 자료>

 

1. 연작 소설

<징 소리><창작과 비평> 1978년 겨울호에 게재된 단편 소설인데, 작가 문순태는 이후 <저녁 징 소리>, <말하는 징 소리> 5편의 연작(連作)을 내놓아 장편의 형태를 갖추었다. 이런 형식의 소설들은 1970년대에 특히 유행했는데, 농촌의 붕괴 문제를 다룬 이문구의 <우리 동네>, 도시 빈민 문제를 다룬 윤흥길의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한국 사회의 산업화에 따른 빈부 격차와 계층간의 갈등 문제를 다룬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등 주목할 만한 작품들이 이 시기에 나타났다.

  연작 소설은 부분적으로 독립된 단편이면서도 전체적으로 하나의 유기적 구조를 갖는 장편의 형태를 지닌 새로운 형식의 소설이다. 이는 우리 사회가 다양화되고 사회 계층의 반목이 뚜렷해지면서 하나의 시점으로 작가의 시각을 고정하지 않고 여러 각도에서 당대 의 문제들에 대해 조명하고자 하는 작가 의식의 소산으로 이해되나, 문제를 천착하지 못하고 단순한 문체상의 기교로 흘러버린 문제점도 노출되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