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마귀 싸호는 골에 백로(白鷺)야 가지마라 성난 가마귀 흰빗츨 새올세라 청강(淸江)에 죠히 씨슨 몸을 더러일가 하노라 -포은母 |
[말뜻]
- 가마귀 : 소인, 간신, 이성계 일파를 의미한다.
- 싸호는 : 싸우는
- 골 : 골짜기
- 백로 : 군자, 충신, 정몽주
- 새올세라 : 시샘할세라
- 청강(淸江) : 맑은 강(물)
- 죠히씨슨 : 깨끗하게 씻은
[핵심 정리]
* 연대 : 고려말
* 지은이 : 정몽주의 모친 혹은 김정구
* 갈래 : 평시조, 단시조, 정형시
* 성격 : 교훈적(敎訓的)
* 제재 : 까마귀와 백로
* 주제 : 나쁜 무리들과 어울리는 것을 경계함
[현대어 풀이]
까마귀가 싸우는 골짜기에 백로야 가지 마라.
성낸 까마귀들이 너의 흰빛을 시샘하나니.
맑은 물에 깨끗이 씻은 몸을 더럽힐까 염려스럽구나.
[참고]
포은 정몽주가 이성계를 문병 가던 날(저녁 무렵), 팔순이 가까운 그의 노모(老母)가 간밤의 꿈이 흉하니 가지 말라고 문 밖까지 따라 나와 아들을 말리면서 이 노래를 불렀다 한다. 정몽주는 결국 어머니의 말씀을 듣지 않고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선죽교(善竹橋)에서 이방원이 보낸 자객 조영규에게 피살되고 말았다. 정몽주의 노모가 타계한 후 선죽교 옆에 그 노모의 비석을 세웠는데, 기이하게도 그 비석은 언제나 물기에 젖어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아들의 횡사를 서러워하는 어머니의 눈물이 마를 날이 없기 때문이라는 전설이 전해 오고 있다. 여기에서 ‘백로’는 ‘정몽주’를 ‘가마귀’는 ‘이성계 일파’를 뜻한다.
'고전문학자료실 > 고전시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손에 가시를 들고/우탁/고시조-이해와 감상_by황소걸음 (0) | 2017.01.22 |
---|---|
이화에 월백하고/이조년/고시조-이해와 감상_by황소걸음 (0) | 2017.01.22 |
백설이 자자진 골에/이색/고시조-이해와 감상_by황소걸음 (0) | 2017.01.22 |
흥망이 유수하니/원천석/고시조-이해와 감상 by황소걸음 (0) | 2017.01.22 |
흥망이 유수하니/원천석/고시조-이해와 감상 by황소걸음 (0) | 2017.0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