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요(薯童謠)'에 대해 알아보기
<서동요의 내용>
<현대어 풀이>
선화공주님은
남 몰래 정을 통해 두고
맛둥방(서동)을
밤에 몰래 안고 가다.
<서동요 해설>
백제 무왕의 노래인 '서동요'는 일종의 참요(미래의 역사적 사건을 예언하는 민요)로, 진평왕(재위 579-632)의 딸 선화공주를 차지하기 위해 서동이 불렀다고 전한다. 그러나 남녀간의 사랑을 내용으로 했던 동요적인 민요가 후대에 전승되며 변화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서동이 백제의 무왕이 되었다거나 선화 공주가 진평왕의 딸이라는 것은 이 이야기가 실제 일어난 것처럼 보이게 하는 증거물로서의 의미를 가지며, 신분제 사회의 엄격한 벽을 뛰어넘고자 하는 백성들의 소망이 담긴 것이라 볼 수 있다.
<작품 개요>
연대 : 신라 26대 진평왕(6세기)
작가 : 서동(백제 무왕)
형식 : 4구체 향가, 동요
성격 : 참요(讖謠)적, 직설적, 주술적, 동요적, 동화적
주제 : 선화 공주의 부정한 사랑, 아내를 얻기 위한 계략
내용 : 선화 공주를 아내로 맞기 위하여 선화 공주의 거짓 비행을 계략적으로 퍼뜨림.
의의 : ① 현전 최고(最古)의 향가 작품
② 배경설화에 신화적인 요소가 있는 향가
③ 향가 중 민요체를 대표하는 작품
④ 동요가 향가 형태로 정착된 작품
출전 :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무왕(武王)
잠깐
얼다 : '정을 통하다, 혼인하다'의 뜻으로 이것으로 인해 참요적 성격을 지님
참요(讖謠) - 미래의 역사적 사건을 예언하는 노래
제 30대 무왕(武王)의 이름은 장(璋)이다. 그 모친이 과부가 되어 서울 남쪽의 못가에 집을 짓고 살던 중, 그 곳의 용(龍)과 교통(交通)하여 아들을 낳았다. 아명(兒名)을 서동(薯童)이라 하였는데, 그 도량(度量)이 커서 헤아리기가 어려웠다. 항상 마를 캐서 살았으므로 국인(國人)이 이에 의하여 이름을 지었다. |
이 노래는 일종의 참요(讖謠)로, 서동이라는 사랑에 빠진 한 소년이 자신이 갈망하는 내용을 선화 공주라는 상대편에 전가시켜 노래한 것이다. 주객을 전도시킨 수사적 특징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으며, 국경을 뛰어 넘고 신분의 귀천을 초월한 낭만적인 한 소년의 사랑 이야기를 재미있게 감상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꿈이 결국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신분을 초월하고자 하는 당시 민중들의 소망을 엿볼 수도 있다. 어린 아이들이 부르는 동요의 형태를 띠고 있어 간결하고 소박한 표현을 사용하고 있으며, 사랑을 위해 목숨을 건 고대인들의 강한 정열과 순진하고 발랄한 모습을 엿볼 수 있다.
1. 이 노래에서 결혼의 의미
엄격한 계급 분화가 이루어진 시대에 상하층의 관계를 갈라 놓는 사회적 장벽에 불만을 나타내면서, 예전에는 이런 자유로운 상하의 교통이 있었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기 위하여 설정된 사건으로 볼 수 있다. 서동이 백제의 무왕이 되었다거나 선화 공주가 진평왕의 딸이라는 것은 이 이야기가 실제 일어난 것처럼 보이게 하는 증거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2. 백제 무왕(武王, ?~641)
백제 제 30대 왕. 재위 600-641년. 이름은 장(璋). 신라의 변경을 자주 공략했고, 고구려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노력했다. 수와 그 다음의 당에 조공(朝貢)하였으며 만년에는 궁성 남쪽에 연못을 파고 유흥지로 삼는 등 사치와 유흥을 일삼았다.
백제 무왕의 어릴 때 이름은 "말자(末子, 막둥)"였다. 무왕을 "말통대왕(末通大王)"이라고 한 근거도 그의 아명이 "막둥(맛둥)"이었기 때문이다.
'고전문학자료실 > 고전시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보/이황/한시-이해와 감상_by황소걸음 (0) | 2017.01.25 |
---|---|
헌화가/견우노옹/고전시가-이해와 감상_by황소걸음 (0) | 2017.01.25 |
공무도하가/백수광부의 처/고대가요-이해와 감상_by황소걸음 (0) | 2017.01.24 |
구지가/구간 등/고대가요-이해와 감상_by황소걸음 (0) | 2017.01.24 |
동짓달 기나긴 밤을/황진이/고시조-이해와 감상_by황소걸음 (0) | 2017.0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