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문학자료실/고전시가

풍요/미상/향가-이해와 감상_by황소걸음

by 황소 걸음 2017. 2. 1.
반응형

요(風謠)


출전 : 삼국유사

 

  

                                <양주동 해독>

   온다 온다 온다

   온다 서러운 이 많아라

   서럽더라 중생(衆生)의 무리들이여

   공덕(功德) 닦으러 온다

                            <현대어 해석>

 

  '풍요'는 민요적 노동요로 신라 27대 선덕여왕 때 지어진 4구체 즉 4행으로 이루어진 향가이다. 당시의 승려인 양지(良志)와 관련된 노래인데 그가 영묘사(靈竗寺)에 장륙존상(丈六尊像)이란 불상을 조각할 때에 장안의 남녀들이 부처님께 공덕을 닦기 위해 진흙을 운반하는 노동을 하며 이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노동요로서 불교적인 내용과 서민들의 애환을 두루 담고 있는 간결하고 소박한 노래이다.




ball03a.gif 갈래 : 4구체 향가, 노동요
ball03a.gif 운율 : 외형률
ball03a.gif 연대 : 신라 제27대 선덕여왕 때
ball03a.gif 성격 : 종교적(불교), 민중적, 민요적
ball03a.gif 제재 : 불심(佛心)
ball03a.gif 핵심어 : 공덕(功德)
ball03a.gif 주제 : 현세에서 공덕을 닦기를 원함.
ball03a.gif 의의 : 노동요의 성격을 띤 향가


 

   '석양지'는 조상이며 향읍은 미상하나 선덕왕 때의 사람이다. 그가 석장 머리에 포대를 걸어 놓으면 석장이 혼자 날아가 신도의 집에 이르러 흔들려 소리를 낸다. 그러면 그 집에서는 알고 포대에 가득히 시주를 담아 주면 석장은 다시 날아서 돌아온다. 그래서 그의 거주하는 절을 석장사라 한다. 그의 신기한 행적은 헤아릴 수 없다. 그는 잡술에도 정통하였고 문장과 필법에도 능하였다. 영묘사 장육삼존과 찬왕상과 아울러 전탑의 기와며, 천왕사탑 아래의 팔부신장과 법립사 주불삼존과 좌우 금강신 등이 모두 그의 만들은 바요, 영묘사, 법림사 두 절의 액도 그가 쓴 바이다. 또 벽돌을 새겨서 작은 탑을 만들고, 그 안에 삼천불을 만들어 안봉하여 절안에 두고 치경하였다. 영묘사 장육삼존을 만든 뒤에 입정하였는데 그 때 성내의 여자들이 다투어 흙을 날랐었다. 그때 이 노래를 지어 불렀다 한다.
  이 풍요는 시주하지 못하는 신도가 부역으로 대신하여 부른 노래이다. 

 


  신라 제27대 선덕여왕 때 지은 4구체 향가로 《양지사석가》라고도 하는 노래이다. 남녀가 진흙을 나르며 불렀다는 배경 설화의 내용에 따른다면 노동요의 성격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부처의 본을 뜨기 위해 진흙을 날랐다는 의미에 주목해 본다면 한줌의 흙이라도 시주하여 내세를 위한 공덕을 닦겠다는 민중의 종교적 소망이 담긴 노래라고도 할 것이다. 아무런 꾸밈없이 자신들의 소망을 노래에 담아 부른 단순한 작품 내용으로부터 당대인의 소박한 삶의 모습을 떠올려 볼 수 있는 작품이다.
 



1. '셔럽다라'의 해석

  ① 세상살이의 온갖 어려움 속에서 일상적으로 지니는 슬픔을 표헌한 말이다.
  ② 불교적인 의미에서 인생이 무상함을 뜻하는 말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