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든 서울
오장환
8월 15일 밤에 나는 병원에서 울었다.
너희들은 다 같은 기쁨에
내가 운 줄 알지만 그것은 새빨간 거짓말이다.
일본 천황의 방송도,
기쁨에 넘치는 소문도,
내게는 곧이가 들리지 않았다.
나는 그저 병든 탕아(蕩兒)로
홀어머니 앞에서 죽는 것이 부끄럽고 원통하였다.
그러나 하루 아침 자고 깨니
이것은 너무나 가슴을 터치는 사실이었다.
기쁘다는 말,
에이 소용도 없는 말이다.
그저 울면서 두 주먹을 부르쥐고
나는 병원을 뛰쳐나갔다.
그리고, 어째서 날마다 뛰쳐나간 것이냐.
큰 거리에는,
네거리에는, 누가 있느냐.
싱싱한 사람 굳건한 청년, 씩씩한 웃음이 있는 줄 알았다.
아, 저마다 손에 손에 깃발을 날리며
노래조차 없는 군중이 만세로 노래를 부르며
이것도 하루 아침의 가벼운 흥분이라면……
병든 서울아, 나는 보았다.
언제나 눈물 없이 지날 수 없는 너의 거리마다
오늘은 더욱 짐승보다 더러운 심사에
눈깔에 불을 켜들고 날뛰는 장사치와
나다니는 사람에게
호기 있이 먼지를 씌워 주는 무슨 본부, 무슨 본부,
무슨 당, 무슨 당의 자동차.
그렇다. 병든 서울아,
지난날에 네가, 이 잡놈 저 잡놈
모두 다 술취한 놈들과 밤늦도록 어깨동무를 하다시피
아 다정한 서울아
나도 밑천을 털고 보면 그런 놈 중의 하나이다.
나라 없는 원통함에
에이, 나라 없는 우리들 청춘의 반항은 이러한 것이었다.
반항이여! 반항이여! 이 얼마나 눈물나게 신명나는 일이냐
아름다운 서울, 사랑하는 그리고 정들은 나의 서울아
나는 조급히 병원 문에서 뛰어나온다
포장친 음식점, 다 썩은 구루마*에 차려 놓은 술장수
사뭇 돼지 구융*같이 늘어선
끝끝내 더러운 거릴지라도
아, 나의 뼈와 살은 이곳에서 굵어졌다.
병든 서울, 아름다운, 그리고 미칠 것 같은 나의 서울아
네 품에 아무리 춤추는 바보와 술취한 망종이 다시 끓어도
나는 또 보았다.
우리들 인민의 이름으로 씩씩한 새 나라를 세우려 힘쓰는 이들을……
그리고 나는 외친다.
우리 모든 인민의 이름으로
우리네 인민의 공통된 행복을 위하여
우리들은 얼마나 이것을 바라는 것이냐.
아, 인민의 힘으로 되는 새 나라
8월 15일, 9월 15일,
아니, 삼백예순 날
나는 죽기가 싫다고 몸부림치면서 울겠다.
너희들은 모두 다 내가
시골 구석에서 자식 땜에 아주 상해 버린 홀어머니만을 위하여
우는 줄 아느냐.
아니다, 아니다. 나는 보고 싶으다.
큰물이 지나간 서울의 하늘아
그때는 맑게 개인 하늘에
젊은이의 그리는 씩씩한 꿈들이 흰구름처럼 떠도는 것을……
아름다운 서울, 사모치는, 그리고, 자랑스런 나의 서울아,
나라 없이 자라난 서른 해
나는 고향까지 없었다.
그리고, 내가 길거리에서 자빠져 죽는 날,
‘그곳은 넓은 하늘과 푸른 솔밭이나 잔디 한 뼘도 없는’
너의 가장 번화한 거리
종로의 뒷골목 썩은 냄새 나는 선술집 문턱으로 알았다.
그러나 나는 이처럼 살았다.
그리고 나의 반항은 잠시 끝났다.
아 그 동안 슬픔에 울기만 하여 이냥 질척거리는 내 눈
아 그 동안 독한 술과 끝없는 비굴과 절망에 문드러진 내 쓸개
내 눈깔을 뽑아 버리랴, 내 쓸개를 잡아 떼어 길거리에 팽개치랴.
(상아탑 창간호, 1945.12)
* 구루마 : 짐수레. 달구지.
* 구융 : ‘구유’의 사투리로 마소의 먹이를 담아 주는 나무 그릇.
<핵심 정리>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성격 : 이념적, 참여적, 격정적
* 제재 : 광복된 조국의 모습
* 주제 : 광복 후의 혼란스러운 정국에 대한 인식과 새로운 현실에 대한 소망
* 의의 : 해방 직후의 몇 안되는 우수한 작품 중 하나
<작품 감상>
오장환은 일제 말기에 붓을 꺾지 않으면서도 친일의 길을 걷지 않은 몇 안 되는 시인 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해방 후 조선문학가동맹에서 활동하게 되는데 이 시는 해방 후의 부정적 현실 속에서 새 시대에 대한 전망과 기대를 표현하고 있다. 신장병으로 인해 8․15 해방을 병상에서 맞은 오장환의 광복의 감격과 어수선한 해방 정국에서의 울분과 좌절, 새로운 시대에 대한 염원을 담고 있다.
1연에서의 그의 울음은 병실에서 어머니보다 먼저 죽을 수 있는 자신의 신세를 한탄해서 우는 울음이다. 하지만 2연에서 그는 비로소 해방의 기쁨을 느끼며 서울 거리로 뛰쳐나간다. 그리고 그가 목격하게 된 것은 “눈깔에 불을 켜들고 날뛰는 장사치”와 “나다니는 사람에게 호기 있이 먼지를 씌워 주는 무슨 본부, 무슨 본부, 무슨 당, 무슨 당의 자동차”로 표현되는 정치꾼들만이 있을 뿐이다. 그러니 4연에서 그는 “반항이여! 반항이여! 이 얼마나 눈물나게 신명나는 일이냐”와 같이 반항의 정신을 되새기게 되며, 5연에서 “끝끝내 더러운 거릴지라도 아, 나의 뼈와 살은 이곳에서 굵어졌다.”고 하며 현실에 뿌리 내릴 결심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6연에서는 “우리들 인민의 이름으로 씩씩한 새 나라를 세우려 힘쓰는 이들을”에 주목하게 되며, “아, 인민의 힘으로 되는 새 나라”에 이르러 그의 새나라에 대한 전망이 인민 중심의 사회주의적 전망임을 분명히 드러낸다. 그리하여 7연에서 다시 “큰물이 지나간 서울의 하늘아 / 그때는 맑게 개인 하늘에 / 젊은이의 그리는 씩씩한 꿈들이 흰구름처럼 떠도는 것을…… ”이라 하여 그 꿈을 구체화하고 있다.
즉 이 작품은 격한 감정 속에서도 현실에 대한 비판적 거리를 유지하며, 해방된 나라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생각을 적절하게 형상화하였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고 할 것이다.
오장환의 이 같은 민족 현실의 시적 형상화는 광복 후 진보적 시 운동의 한 전범으로 간주되어, 당대의 많은 신진 시인들이 이 작품의 시 정신을 그대로 실천해 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한 이 작품은, 이태준의 소설 <해방 전후>, 이용악의 시 <오월에의 노래>와 더불어 1946년 조선문학가동맹에서 선정한 ‘해방문학상’의 후보작으로 거론되기도 했다.
<병든 서울>은 조정래의 역사소설 《태백산맥》에 발췌되었으며, 1982년 군산에서 발생한 간첩 사건인 오송회 사건은 고교 교사들이 《병든 서울》을 돌려 읽은 것이 발단이 된 것이었다.
<시인 연구> - 아래의 성명을 누르세요.
오장환
<참고 자료>
시집 <병든 서울>
|
시집 『병든 서울』은 오장환의 네번째 시집으로 1946년 7월 [정음사(正音社)]에서 간행되었다. 오장환이 서울대학교 부속병원에 입원했을 때에 쓴 서문인 <머리에>와 함께 19편의 시작품을 수록하고 있다. 수록시편들이 모두 8ㆍ15광복 이후에 쓰여진 작품들로 편성되어 있다. 일기(日記)처럼 제작일자를 명시하고 수록시편을 제작순에 따라 배열하고 있는데, '8ㆍ15의 노래', '연합군입성(聯合軍入城) 환영의 노래', '이름도 모르는 누이에게', '원씨(媛氏)에게', '병(病)든 서울', '어둔 밤의 노래', '지도자(指導者)', '입원실(入院室)에서', '깽', '가거라 벗이어!', '연안(延安)에서 오는 동무 심(沈)에게', '이 세월(歲月)도 헛되이', '공청(共靑)으로 가는 길', '너는 보았느냐', '강도(强盜)에게 주는 시(詩)', '내 나라 오 사랑하는 내 나라', '나의 길', '어머니 서울에 오시다' 등이 수록되어 있다. 여기에 실린 시작들은 8·15 직후 격변하는 혼란된 상황의식을 토로하고 있는가 하면, 그의 좌경적 이념과 혁명사상을 바탕으로 투쟁의 구호를 외치듯이 쓴 작품도 있다. |
'현대문학자료실 > 현대시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제 오느냐/문태준/현대시 - 간결한 정리와 작품감상 (0) | 2016.06.01 |
---|---|
사랑법/강은교/현대시 - 간결한 정리와 작품감상 (0) | 2016.05.31 |
바라춤/신석초/현대시 - 간결한 정리와 작품감상 (1) | 2016.05.31 |
바다와 나비/김기림/현대시 - 간결한 정리와 작품감상 (0) | 2016.05.31 |
무등을 보며/서정주/현대시 - 간결한 정리와 작품감상 (0) | 2016.05.31 |
댓글